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제를 보다 시작합니다.<br><br>경제산업부 박지혜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올해 경제전망, 어떻습니까? <br> <br>정부가 예상하는 경제 성장률은 2.2%인데요. <br> <br>지난해보다는 0.8%p 높습니다. <br> <br>Q1-1. 이유는요? <br> <br>지난해 고꾸라졌던 반도체 수출이 회복되면서 1년 전보다 경상수지도, 흑자 폭도 커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상반기 여전한 고물가 고금리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.6%에 달했는데요, 정부는 어떻게든 상반기에 물가를 2%대로 끌어내려 연간 2.6%로 안정시키고 <br>소비를 늘리는 게 목표입니다.<br> <br>Q2. 물가 끌어내리는 대책, 어떤 게 있습니까? <br> <br>전기요금이나 가스요금같은 공공요금을 올해 상반기에 동결합니다. <br> <br>1학기 학자금 대출금리도 1.7%로 동결합니다. <br> <br>물가를 올린 주범으로 지목된 과일값 잡기에도 나섭니다. <br> <br>바나나나 파인애플, 냉동딸기 같은 수입과일 21종은 1351억 원을 투입해 관세를 면제하거나 낮춰서 30만 톤을 들여옵니다.<br> <br>Q3. 닫힌 지갑을 열 방안으로는 뭐가 나왔나요? <br> <br>'소득공제' 인센티브를 크게 늘렸습니다. <br> <br>지난해보다 카드를 5% 이상 더 많이 쓰면 10% 추가 소득공제를 해주고 특히 상반기에 더 많이 쓴 사람에게는 20%까지 공제를 <br>확대합니다. <br> <br>전통시장 사용분에는 기존의 2배인 80%까지 소득공제율을 높였습니다.<br> <br>낡은 차를 올해 바꿔볼까 하셨던 분들은 주목하셔야겠는데요. <br> <br>10년 넘은 노후차량을 신차로 바꾸면 한시적으로 개별소비세율을 70% 깎아줍니다. <br> <br>자동차 개소세율은 코로나 19 때도 잠깐 인하를 했는데요. <br> <br>작년에 환원했다가 올해부터 또 낮춰주는 겁니다.<br> <br>Q4. 요즘 부동산 시장도 얼어붙었는데 대책 나왔습니까? <br> <br>현재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을 팔면 양도세가 더 높아지는데요, 이걸 한시적으로 배제해주는 정책이 1년 더 연장됩니다. <br> <br>부동산 시장 거래를 활성화시키겠단 거고요.<br><br>역전세 위험이 높은 다가구 주택이나 빌라 세입자가 전세나 월세로 살던 60㎡ 이하 집을 사면, 취득세를 최대 200만 원 감면해줍니다.<br> <br>Q5. 대책 중에는 '세컨드홈'을 사도록 장려하는 방안도 있다고요? <br> <br>1주택자가 인구소멸지역에 집을 사면 다주택자로 보지 않겠단 겁니다. <br><br>만약 서울에 집을 가진 사람이 수도권 인구감소지역인 경기 가평군이나 인천 강화군에 집을 사도 1주택자로 간주됩니다. <br> <br>재산세와 종부세, 양도세까지도 1주택자와 똑같은 세제가 적용되는 겁니다.<br> <br>현재 행정안전부가 추산한 인구감소 지역은 총 89곳에 달합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